□ 이번 행사는 마을공동체와 마을활동가, 145만 시민이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그동안 광주마을 발전을 위해 헌신해온 마을활동가와 공동체, 중간지원조직 및 유관단체들이 서로 화합하고 교류하는 만남의 장을 마련한다.
□ 개막식을 시작으로, 마을전시관에서는 5가지 테마(연대, 즐거움, 배움, 평화, 공존)에 맞게 마을활동을 전시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온동’네 展이 열린다. 또한 동 단위 중심의 마을자치를 실현하기 위해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를 돌아보고 이들이 연대·도약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마을포럼이 개최된다.
이 밖에도 마을활동가에게 배우는 학습의 장으로 ▲마을평상학교, 마을과 마을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이야기마당, 광주마을 공동체의 가치와 철학이 담긴 ▲故최봉익 선생 회고전, 마을에서 기획·생산한 상품을 볼 수 있는 ▲마을상회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특히 올해는 광주마을 공동체 영역의 10여 개 분야(협치마을, 마을네트워크, 에너지전환마을, 청소년화해놀이터, 마을교육공동체, 평생학습, 인권마을, 마을갈등관리-소통방, 사회적경제, 도농복합마을, 돌봄·여성친화마을 등)뿐만 아니라 마을 안에서 이루어지는 도시재생 분야까지 한자리에 모여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생하는 시간을 갖는다.
주목할만한 점은 예산 절약은 물론 자원순환 실천의 의미로, 이번 한마당 행사에 사용하는 상당한 물품들을 23년 디자인비엔날레 폐막 후 전시폐기물을 재활용한다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광주광역시도시재생공동체센터 민문식대표이사는“공동체 행사를 위해 애써 주신 마을활동가 및 관련 단체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이번 한마당을 통해 광주마을 공동체의 가치와 정신을 돌아보고 광주형 마을자치 실현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