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 후퇴’ 규탄…예산 현실화 촉구 거리행진까지 진행
![]() |
| ▲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예산 현실화 투쟁 결의대회 현장.(사진=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
이날 현장에는 경자연 소속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와 전국 각 지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500여 명이 참석하여, 지난 11월 5일 발표된 2026년도 예산안에서 55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도비 지원예산이 대폭 삭감된 초유의 사태에 대해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책임 규명과 즉각적인 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투쟁결의대회 사회를 맡은 경자연 권리보장위원장 이민선 위원장은 “경기도는 2026년도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예산뿐 아니라 장애인가족지원, 장애인쉼터 등 장애인복지 전 분야의 예산을 무분별하게 삭감했다”며, “이는 장애인을 경기도민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명확한 선언이자 장애인 복지를 10년 전으로 퇴행시키는 도정의 뻔뻔한 행태”라고 규탄하며 결의대회의 취지를 밝혔다.
경자연 송기태 대표는 여는 발언에서 “경기도는 60만 장애인의 삶을 짓밟고, 장애인의 권리를 예산 한 칸으로 삭제하는 반인권적 조치를 자행하고 있다”며, “장애인의 삶을 후퇴시키는 모든 예산 삭감을 즉각 중단하고, 현실을 반영한 정당한 예산을 즉시 편성할 것을 경기도에 분명히 요구한다”고 강조하였다.
지지 발언에 나선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진형식 상임대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은 베풂이나 시혜가 아니라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절대적 권리”라며 “그 권리를 지탱하는 예산은 경기도가 반드시 사수해야 할 인권의 마지막 보루이며, 경기도가 이 경고를 외면한다면 우리는 60만 경기도 장애인과 함께 대한민국 260만 장애인의 전면적 행동과 총력 투쟁으로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 |
| ▲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예산 현실화 투쟁 결의대회 현장.(사진=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
대회 종료 후 참가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경기도의 복지예산 삭감 폭거를 멈추고, 2026년 예산 수립을 즉각 재실행하라”고 촉구했으며, 김동연 지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어 참가자들은 경기도청과 경기도의회를 한 바퀴 도는 거리 행진을 진행하며, 삭감의 심각성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투쟁결의대회를 마무리하며 경자연은 “예산 삭감 철회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며, 향후 결과에 따라 더욱 민첩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