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의원, 코로나19와 고물가 겹쳤더니.. 지난해 영양실조 환자 1만명 넘어섰다

심귀영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6 12:55:52
  • -
  • +
  • 인쇄
- 작년 영양실조로 병원 찾은 국민 11,115명, 2018년(5,426명) 대비 2배 이상 급증
- 60대 이상 노인층 62.4%(6940명)로 가장 많아.. 10대 이하 아동청소년 5.2%(578명)
- 의료급여 수급권자 비중 16.4%(1837명) 저소득층의 영양부실 심각
- 김원이 의원 “취약계층의 사회적 고립 해결할 세밀한 복지체계 확충해야”
[세계타임즈 = 심귀영 기자] 코로나19가 2년 넘게 지속되면서 지난해 영양실조로 의료기관을 찾은 국민이 1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단절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소외계층의 생계가 위협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보건복지위, 목포시)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영양실조로 진료를 받은 국민은 총 11,11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7년 이후 매년 5000~6000명대를 기록하다가 1만명을 넘어선 건 처음이다. 코로나 이전인 2018년 5,426명과 비교하면 104%나 증가한 수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영양실조로 진료를 받은 사람 대다수는 60대 이상 노인층으로 전체의 62.4%(6,940명)을 차지했다. 80세 이상이 23.6%(2,622명), 70대 23.1%(2,573명), 60대 15.7%(1,745명) 순이다.

적지 않은 수의 청년과 아동·청소년도 지난해 영양실조로 병원을 찾았다. 20~30대 청년층은 전체의 12.1%(1,350명), 10대 이하 아동·청소년은 5.2%(578명)을 차지하는 등 영양실조는 전연령대에서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영양실조가 급증한 원인에 대해, 독거노인 등 1인 가구가 늘어난데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약계층이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올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해제되기 전까지 노인복지시설 등이 폐쇄되고, 초등학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됐다. 이에 따라 무료급식소와 푸드뱅크, 학교급식이 중단되면서 취약계층의 영양상태가 부실해졌다는 것이다.


취약계층의 열악한 현실은 영양실조로 진료를 받은 사람 중 의료급여 환자의 비중을 보면 잘 드러난다. 의료급여 환자는 주로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으로 진료비의 상당 부분을 국가가 부담한다.

 

김원이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영양실조 진료인원 11,115명 중 의료급여 환자는 총 1,837명으로, 전체의 16.5% 비중이다. 우리나라 인구를 5천만으로 가정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총 1,516,525명(21년 12월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3% 수준이다. 즉, 보통의 국민에 비해 저소득층의 영양실조가 훨씬 심각한 셈이다.

문제는 코로나19로 문을 닫았던 민간 무료급식소와 복지관 등이 최근 운영을 재개하고 있지만, 물가급등으로 재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운영이 힘들다는 점이다.

김원이 의원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아직도 진행중이고 경제위기까지 겹쳐 빈곤층에게 더 가혹한 고통이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취약계층의 사회적 고립을 해결할 보다 세밀한 복지시스템을 확립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