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기계·항공 등 수출 감소 예상, 조선·방산·원전은 기회 요인
- 위기 대응과 기회 활용을 병행한 산업별·정책별 대응 전략 제안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15%가 부과될 경우 경남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4,990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는 자동차(1,374억 원), 일반기계(1,200억 원), 항공(820억 원) 등 주력 수출 품목에서 감소폭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조선과 방산 분야는 미국의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원전·에너지 협력과 연계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5,000억 달러 규모로 거론된 대규모 대미투자는 생산성 향상과 국제 협력 확대라는 긍정적 효과와 함께, 국내 투자 위축, 산업 공동화, 핵심 기술 유출 위험이라는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가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자동차 산업 내 한계기업 사전점검 및 위기대응 체계 구축 ▲조선·방산 분야 대규모 정부사업 선제 대응 ▲데이터센터용 소형모듈원자로(SMR) 및 히트펌프 기술 투자 확대 ▲조선·기계 산업 생태계 보완 장기 로드맵 수립 등을 주요 대응 과제로 제안했다. 경상남도 또한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한 산업안정대책TF를 선제적으로 구성·운영하여 한미 통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
이우평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는 단기적 현안 대응을 넘어, 중장기적으로 경남 산업 구조에 미칠 파급효과와 정책적 대응 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라며, “지역 산업계와 중앙정부가 함께 전략을 마련해 경남이 기회와 위기를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했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