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 심귀영 기자]국민의힘 박덕흠 의원과 그 가족이 관여된 건설사들이 박 의원이 간사였던 국토교통위 피감기관인 국토교통부와 그 산하기관들로부터 1천원억을 수주하였다는 사실이 제대로 알려지기도 전에 해당 회사들이 경기도와 경상북도 등 지방자치단체로부터 487억원에 달하는 일감을 따냈다는 내용이 추가로 보도되었습니다. 이들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안전위의 피감기관으로 박 의원은 행정안전위에서도 활동한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피감기관으로부터 수주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금액만 2천억원에 달합니다.
지난 8월 23일 방송에서 이와 관련된 첫 보도가 있고 나서 박 의원은 이를 부인하면서도 슬쩍 소속 상임위를 국토교통위에서 환경노동위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러나 상임위를 변경하더라도 3선 국회의원인 박 의원이 해당 건설사들과의 관계가 계속되는 한 이해충돌의 우려는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박 의원은 2014년 부부가 보유하고 있는 3개 건설회사의 주식 128억(장부가)을 신탁하여 문제가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여전히 매각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해당 회사의 수주금액이 늘어나면 신탁된 주식의 가치도 증가하여, 결국 국회의원 본인에게 직접 이익이 돌아가는 것입니다. 더욱이 박 의원의 자식과 형제가 주식을 보유하거나 경영에 관여하는 건설사도 있어 이해충돌의 우려는 더 큰 상황입니다.
언론에 보도된 내용에 의하면 해당 건설사가 보유한 특별한 기술이 업체선정조건으로 명시된 공사를 서울시로부터 수주하였는데, 박 의원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건설 신기술이라는 게 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 서울시가 많이 활용하는 게 좋고, 앞으로 활용해 달라는 부탁의 말씀을 드린다”고 발언을 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부탁'이 과연 본인의 가족회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지, 그러한 '부탁'이 피감기관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을지 국민은 쉽게 판단하실 겁니다.
이제 시작입니다. 앞으로 박 의원과 관련된 건설사들의 수주현황을 더 상세히 확인하고, 박 의원이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나서 이들 건설사들의 수주현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박 의원이 피감기관에게 한 '부탁'이 수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백지신탁된 주식과 가족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등에 관하여 국회와 언론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사실관계를 확인할 것입니다. 동시에 시민단체가 직권남용·부패방지법 위반·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내용에 대하여는 수사기관의 신속하고 철처한 수사를 촉구하는 바입니다.
국회 차원에서도 이해충돌 우려가 있는 국회의원이 상임위 활동으로 피감기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피감기관을 운영할 세금을 낸 국민에게는 어떠한 피해를 주었는지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에 대하여 문제가 확인되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직접 야기하고 장기간 방치한 국민의힘에게 묻습니다.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엄청난 특혜를 누린 것으로 생각하는 국민들의 분노와 실망감에는 어떻게 답하실 것입니까?
국민의힘에게는 무엇이 중합니까?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