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도 도의원, ‘벤또’를 사투리로 둔갑시킨 방언사전 지적

최준필 기자 / 기사승인 : 2020-11-11 20:19:01
  • -
  • +
  • 인쇄
- ‘벤또’, ‘고무다라’, ‘구루마’ 등 식민잔재 일본 말 방언사전에 버젓이 등재
- ‘나비’, ‘술빵’, ‘대야’, ‘면상’ 등 표준어도 전북 고유 방언으로
- 3년간 총 3억 원 들인 방언사전 편찬, 부실용역으로 전락
[전북=세계타임즈 최준필 기자] 11일(수)에 열린 도 문화체육관광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전라북도가 전국 최초로 추진한 방언사전 편찬 및 발간사업이 상식 이하의 부실용역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라북도 방언사전은 「국어기본법」이 규정하는 지자체의 지역어 보전 책무에 따라 전라북도의 전통과 문화적 역량을 대외에 알리고자 시작된 편찬사업으로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편찬용역에만 3억 원이 투입됐다.


 문제는 지역의 고유색이 투영된 방언(사투리)을 수집해서 집대성해야 하는 방언사전에 식민잔재인 일본 말이나 표준어, 한자어가 다수 수록돼 있다는 점이다.


 이병도 의원은 “누가 봐도 표준어인 단어를 사투리라고 버젓이 올려놓는가 하면 ‘벤또’나 ‘구루마’와 같은 일본 말을 방언으로 등재시켜 놓은 것은 전문가적 식견과 무관하게 상식선에서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고 질타했다.


 이병도 의원이 지적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벤또’나 ‘구루마’이외에도 ‘고무다라’, ‘공고리’, ‘공고리질’, ‘나멘’, ‘빵꾸’ 등 청산되지 않은 식민잔재 일본 말과 ‘미친년 널뛰다’, ‘나비’, ‘나무뚜껑’, ‘술빵’, ‘떡가래’ 등 표준어, 그리고 ‘농구(農具)’와 같은 한자어 등이 있다.


 더 가관인 것은 ‘벤또’와 같은 일본 말을 전라북도 고유의 사투리로 둔갑시킨 것도 모자라서 ‘벤또’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군산과 무주, 완주, 임실을 기재해 놨다는 사실이다.


 이병도 의원은 “방언사전 머리말에도 나와 있듯이 ‘전라북도 방언은 전라북도만의 독특한 언어적 특징을 간직하고 있어 언어적, 문화적으로 상당한 가치’가 있는 지역의 문화자산”이라며, “이러한 문화자산을 엉뚱한 일본 말과 멀쩡한 표준말로 뒤섞어 놓고 대외에 발간 배포한 것은 지역의 문화자산을 널리 알리기는커녕 망신살을 자초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전라북도 방언사전은 지난해에 발간비 2천만 원을 들여 220부를 배포하였으나, 이병도 의원의 회수조치 촉구에 따라 전라북도가 전량 회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최준필 기자 최준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