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연평균 운영비 69.6억원, 장래 178.3억원으로 예측…3배 가까이 부담 심화 예상
-허종식, “궤도시설 전환 등 자기부상열차 운영비용 부담 절감 방안 실행해야”
[세계타임즈=김광수 기자] 수요 예측에 실패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운영비를 절감해, 국민 혈세로 설립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운영을 효율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22일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궤도시설 전환 등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운영비 절감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007년 공사와 인천시의 사업제안 당시,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의 하루 이용객은 34,045명(`15년)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실제 이용객은 4,012명(`19년)에 불과, 예측치 대비 실적 수준이 11.8%에 불과했다. (<표 1>, <표 2> 참조)
지난 해 실시된 장래 수요 예측치도 최대 4,784명(`30년)으로 향후 이용자에 대한 대폭적인 증가를 기대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표 3> 참조)
이는 당초 계획된 영종도 내 개발사업들이 취소·지연되면서 수요 예측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인천시가 작년에 고시한 도시철도망구축계획변경(안)에서도 상업노선인 자기부상철도 2·3단계 사업의 B/C가 0.11로 경제성이 낮아 건설 계획이 없다.
이러한 가운데, 자기부상열차에 투입되는 운영비용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공사의 부담이 심화될 전망이다.
2016년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 이래 2021년까지 투입된 운영비는 총 417.6억원으로, 연평균 69.6억원의 운영비용이 발생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 결과 연평균 178.3억원의 운영비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돼 지금보다 3배 가까운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드러났다. (<표 4>, <표 5> 참조)
허종식 의원은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투자비용이 3,150억원이고, 운영비 또한 417억 넘게 들어가 총 3,567억원이 넘는 비용이 투입됐다”며 “운영비 절감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개통한지 6년 지난 시점에서 운영중단은 시기상조로, 시설 활성화 노력을 통해 운영 효율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허 의원은 “국토부와 공사는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를 도시철도에서 궤도시설로 변경하는 등 자기부상열차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며 “국민 혈세로 설립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기관 부담을 줄여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서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붙임: <표 1> ~ <표 5> 참고자료
[저작권자ⓒ 경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